전의 이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의 이씨는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고려 태조 때 강을 건너는 것을 도운 시조 이도(李棹)를 시작으로, 조선 시대에 문과 급제자 188명, 상신 5명, 청백리 8명 등을 배출하며 명문가로 자리 잡았다. 대사성공파, 문장공파, 전서공파의 3개 파로 나뉘며, 조선 왕실과 여러 차례 혼인 관계를 맺었다. 2015년 대한민국 인구 조사에서 164,189명으로, 이씨 중 5번째로 많은 인구를 기록했다. 현재는 대한민국 각지에 세거지를 두고 있으며,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인물들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의 이씨 - 이종성 (1924년)
이종성은 충남방적을 설립하여 국내 최대 섬유류 제조업체로 성장시키고 1억불 수출탑을 수상하는 등 대한민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국회의원과 청운여고, 혜전대학, 청운대학교 등의 설립을 통해 교육 사업에도 헌신한 기업인이자 교육자, 정치인이다. - 전의 이씨 - 이광노
이광노는 대한민국 육군 중장 예편 후 제13대 국회의원을 지낸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5·18 광주 민주화 운동 관련 조사에 참여하고 정계 은퇴 후 보수 성향 단체에서 활동했다.
전의 이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성씨 | 전의 이씨 (全義李氏) |
이칭 | 전성 이씨(全城李氏) |
관향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
시조 | 이도(李棹) |
주요 인물 | |
인물 | 이천 이혼 이언충 이정간 이완 이한원 이탁 이정란 이순인 이행원 이상진 이정작 이한응 귀여니 이경실 이관세 이광로 이극로 이금로 이기세 이기승 이기찬 이기형 이노공 이명세 이문세 이상 이상로 이상로 이상룡 이상봉 이상일 이상희 이석주 이성림 이수현 이시종 이양희 이영섭 이영세 이옥섭 이원좌 이원형 이유정 이윤승 이윤호 이응노 이인기 이인호 이종구 이종근 이종성 이종승 이종식 이종오 이종왕 이종욱 이종진 이종찬 이준호 이진섭 이창섭 이창승 이창호 이철승 이춘호 이한복 |
인구 정보 | |
인구 | 164,189명 |
인구 순위 | 59위 |
년도 | 2015 |
기타 | |
비고 | 전의·예안 이씨 화수회 |
2. 본관지 연혁
전의(全義)는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일대의 지명이다. 백제의 구지현(仇知縣)이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 금지현(金地縣)으로 개칭하였다. 고려에서 전의현으로 고쳐 청주목에 속하였다. 1413년(조선 태종 13) 현감(縣監)을 두었으며, 1414년(태종 14) 연기현(燕岐縣)과 합하여 전기현(全岐縣)이라 하다가 뒤에 다시 분리하였다. 1895년(고종 32) 전의군으로 승격되었으나 1914년 연기군(燕岐郡)에 합병되어 전의면, 전동면, 소정면이 되었다.[1] 2012년에 연기군이 세종특별자치시(世宗特別自治市)로 승격하였다.[1]
시조는 고려 태조(太祖)가 후백제를 정벌하러 금강에 도착했을 때 강을 건널 수 있도록 도와서 고려 태조로부터 '''이도'''(李棹)라는 이름을 하사 받고, 태사삼중대광(太師三重大匡)에 이르렀다.
전의 이씨는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많은 인물을 배출하였다. 조선시대에는 문과 급제자 188명, 상신(영의정, 좌의정, 우의정) 5명, 대제학 1명, 공신 9명, 청백리 8명 등을 배출하여 명문가로서의 지위를 확고히 했다. 그 외에도 호당 4명, 옥당 41명, 한림 35명, 등단(훈련대장, 금위대장, 어영대장, 총융사 등 대장의 벼슬에 오름) 9명, 삼도수군통제사 14명, 부마 2명, 시호를 받은 인물 38명(고려시대 포함하면 41명), 궤장을 받은 인물 3명을 배출하였다.
전의 이씨는 크게 대사성공파(大司成公派), 문장공파(文莊公派), 전서공파(典書公派)의 3개 파로 나뉜다.[2][3][4]7세손 이천(李仟)의 아들 대에서 장자 이자원(李子蒝)은 대사성공파, 차자 이혼(李混)은 문장공파, 삼자 이자화(李子華)는 전서공파로 분파되었다. 각 파는 다시 여러 개의 중파(中派)로 나뉜다.
전의(全義)는 예로부터 전성(全城) 또는 전산(全山), 전은(全恩)으로 불려왔다. 따라서 전의이씨(全義李氏)를 전성이씨(全城李氏), 전산이씨(全山李氏), 전은이씨(全恩李氏)로 부르기도 한다.[1]
3. 시조
전의이씨 시조 묘는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유천리 산3-1번지에 있다.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유천리 496번지와 그 일대는 전의이씨 시조 태사공 이도를 모시는 재실(齋室) 영사재(永思齋)가 있다. 영사재는 시조 묘소 맞은 편 건너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영사재는 “시조 태사공을 길이길이 추모하는 재실”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영사재(永思齋)는 크게 재실(齋室) 부분과 사당(祠堂)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재실 부분은 영사재(永思齋)로, 사당 부분은 경원사(景遠祠)로 부른다. 이 두 곳을 합쳐서 일반적으로 영사재로 부르기도 한다.
4. 역사
5. 분파
4세 이문경(李文景)
* 5세 이윤관(李允寬)
** 6세 이순(李順)
*** 7세 이천(李仟)
8세 이자원(李子蒝) (대사성공파(大司成公派))
8세 이혼(李混) (문장공파(文莊公派))
8세 이자화(李子華) (전서공파(典書公派))
대파(大派) | 세(世) | 중파(中派) | 비고 |
---|---|---|---|
대사성공파(大司成公派) | 13세 | 진원현감공(珍原縣監公) 대종(大種)파 | |
13세 | 감찰공(監察公) 대성(大晟)파 | ||
13세 | 도절제사공(都節制使公) 승간(承幹)파 | 지파(支派)로 효익공(孝翼公) 준민(俊民)파가 있다. | |
13세 | 소윤공(小尹公) 성간(成幹)파 | ||
13세 | 형조정랑공(刑曹正郞公) 직간(直幹)파 | 전의 이씨 계파(系派) 중에서 인구가 많은 편임 | |
13세 | 정선군수공(旌善郡守公) 강지(剛之)파 | ||
13세 | 사정공(司正公) 장발(長潑)파 | ||
13세 | 판사공(判事公) 장득(長得)파 | ||
13세 | 판관공(判官公) 영동(榮東)파 | ||
13세 | 충주판관공(忠州判官公) 수동(秀東)파 | ||
13세 | 목사공(牧使公) 창동(昌東)파[2] | ||
13세 | 양정공(襄靖公) 화(樺)파 | ||
13세 | 부사직공(副司直公) 허(栩)파[3] | ||
13세 | 옥계공(玉溪公) 남(枏)파[4] | ||
13세 | 주부공(主簿公) 효전(孝全)파 | ||
13세 | 진산군수공(珍山郡守公) 영간(英幹)파 | ||
13세 | 중추원사공(中樞院使公) 의흡(宜洽)파 | ||
13세 | 부사직공(副司直公) 삼기(三奇)파 | ||
문장공파(文莊公派) | 13세 | 익양공(翼襄公) 이천파 | 예안 이씨이다. |
13세 | 이판공(吏判公) 온(鞰)파 | 예안 이씨이다. | |
전서공파(典書公派) | 13세 | 참판공(參判公) 순백(淳伯)파 | |
13세 | 녹사공(錄事公) 인장(仁長)파 | ||
13세 | 하동현감(河東縣監公) 의장(義長)파 | ||
13세 | 평간공(平簡公) 예장(禮長)파 | ||
13세 | 주서공(注書公) 지장(智長)파 | ||
13세 | 예조참판공(禮曹參判公) 함장(諴長)파 | 전의 이씨 계파(系派) 중에서 인구가 많은 편임 | |
13세 | 관찰사공(觀察使公) 효장(孝長)파 | ||
13세 | 양간공(襄簡公) 서장(恕長)파 | 지파(支派)로 청강공(淸江公) 제신(濟臣)파가 있다. | |
13세 | 직장공(直長公) 승존(承尊)파 | ||
13세 | 양호공(襄胡公) 병정(秉正)파 | ||
13세 | 좌윤공(左尹公) 효석(孝碩)파 | ||
13세 | 부사공(府使公) 우석(友碩)파[5] | ||
13세 | 진위현감공(振威縣監公) 인석(仁碩)파[6] | ||
13세 | 홍주판관공(洪州判官公) 의석(義碩)파[7] | ||
13세 | 부사과공(副司果公) 승중(承重)파 | ||
13세 | 절제사공(節制使公) 중손(仲孫)파 | ||
13세 | 사복시정공(司僕寺正公) 세분(世芬)파 | ||
13세 | 군자판관공(軍資判官公) 세무(世茂)파 | ||
13세 | 동공(棟公)파 | ||
13세 | 직장공(直長公) 장손(檣孫)파 | ||
13세 | 수손공(樹孫公)파 | ||
13세 | 사마공(司馬公) 난손(欄孫)파 | ||
13세 | 충순위공(忠順衛公) 지석(枝碩)파 | ||
13세 | 지무공(枝茂公)파 | ||
13세 | 장령공(掌令公) 사공(思恭)파 |
5. 1. 대사성공파 (18개 파)
'''대사성공파(大司成公派)'''는 전의 이씨의 한 분파로 18개의 파로 구성되어 있다.세(世) | 중파(中派) | 비고 |
---|---|---|
13세 | 진원현감공(珍原縣監公) 대종(大種)파 | |
13세 | 감찰공(監察公) 대성(大晟)파 | |
13세 | 도절제사공(都節制使公) 승간(承幹)파 | 지파(支派)로 효익공(孝翼公) 준민(俊民)파가 있다. |
13세 | 소윤공(小尹公) 성간(成幹)파 | |
13세 | 형조정랑공(刑曹正郞公) 직간(直幹)파 | 전의 이씨 계파(系派) 중에서 인구가 많은 편임 |
13세 | 정선군수공(旌善郡守公) 강지(剛之)파 | |
13세 | 사정공(司正公) 장발(長潑)파 | |
13세 | 판사공(判事公) 장득(長得)파 | |
13세 | 판관공(判官公) 영동(榮東)파 | |
13세 | 충주판관공(忠州判官公) 수동(秀東)파 | |
13세 | 목사공(牧使公) 창동(昌東)파[2] | |
13세 | 양정공(襄靖公) 화(樺)파 | |
13세 | 부사직공(副司直公) 허(栩)파[3] | |
13세 | 옥계공(玉溪公) 남(枏)파[4] | |
13세 | 주부공(主簿公) 효전(孝全)파 | |
13세 | 진산군수공(珍山郡守公) 영간(英幹)파 | |
13세 | 중추원사공(中樞院使公) 의흡(宜洽)파 | |
13세 | 부사직공(副司直公) 삼기(三奇)파 |
5. 2. 문장공파 (2개 파)
문장공파(文莊公派)는 2개의 파로 나뉜다. 13세 익양공(翼襄公) 이천을 파조로 하는 익양공파와 13세 이판공(吏判公) 이온(鞰)을 파조로 하는 이판공파가 있다. 익양공 이천과 이판공 이온은 예안 이씨이다.5. 3. 전서공파 (25개 파)
전서공파(典書公派)는 13세 참판공(參判公) 순백(淳伯)파, 녹사공(錄事公) 인장(仁長)파, 하동현감(河東縣監公) 의장(義長)파, 평간공(平簡公) 예장(禮長)파, 주서공(注書公) 지장(智長)파, 예조참판공(禮曹參判公) 함장(諴長)파, 관찰사공(觀察使公) 효장(孝長)파, 양간공(襄簡公) 서장(恕長)파, 직장공(直長公) 승존(承尊)파, 양호공(襄胡公) 병정(秉正)파, 좌윤공(左尹公) 효석(孝碩)파, 부사공(府使公) 우석(友碩)파,[5] 진위현감공(振威縣監公) 인석(仁碩)파,[6] 홍주판관공(洪州判官公) 의석(義碩)파,[7] 부사과공(副司果公) 승중(承重)파, 절제사공(節制使公) 중손(仲孫)파, 사복시정공(司僕寺正公) 세분(世芬)파, 군자판관공(軍資判官公) 세무(世茂)파, 동공(棟公)파, 직장공(直長公) 장손(檣孫)파, 수손공(樹孫公)파, 사마공(司馬公) 난손(欄孫)파, 충순위공(忠順衛公) 지석(枝碩)파, 지무공(枝茂公)파, 장령공(掌令公) 사공(思恭)파 로 총 25개 파로 구성되어 있다.[2][3][4] 이 중 예조참판공(禮曹參判公) 함장(諴長)파는 전의 이씨 계파 중에서 인구가 많은 편이다. 양간공(襄簡公) 서장(恕長)파는 지파로 청강공(淸江公) 제신(濟臣)파가 있다.6. 분적
8세손 이혼이 충선왕 때 첨의정승(僉議政丞)을 역임하였고,[8] 이혼의 손자 이익(李翊)이 예안군(禮安君)에 봉해지면서 예안 이씨로 분적하였다.
7. 과거 급제자
전의 이씨는 조선시대 동안 문과 급제자 188명, 생원시 급제자 261명, 진사시 급제자 246명을 배출하였다.[9] 이는 전체 성관 중 문과 17위,[9] 생원시 14위,[11] 진사시 19위[12]에 해당하는 기록이다.
8. 항렬자
전의 이씨 각 파는 고유의 항렬자를 사용한다.[13]
- 대사성공파(판사공중계파, 첨정공장계파, 첨정공파의 중파 제외)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
潤윤○ | ○植식 | 熙희○ | 敎교○ | ○鎬호 | 漢한○ | 相상○ ○相상 | ○燮섭 | 基기○ |
- 전서공파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
○敏민 | 根근○ | ○魯노 | ○世세 | 鍾종○ | ○浩호 | 相상○ | ○燮섭 | 基기○ |
- 문의공파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
윤(潤) 유(儒) 규(揆) 감(鑑) | 식(植) 만(萬) 석(奭) | 희(熙) 봉(鳳) 림(鳳) | ○교(敎) ○병(炳) | 호(鎬) 형(衡) | 한(漢) 석(錫) |
- 대동항렬자(통합)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40세 | 41세 | 42세 | 43세 | 44세 | 45세 | 46세 | 47세 |
---|---|---|---|---|---|---|---|---|---|---|---|---|---|---|---|
상口(相) | 口섭(燮) | 기口(基) | 口진(鎭) | 원口(源) | 口수(秀) | 용口(容) | 口균(均) | 석口(錫) | 口영(永) | 동口(東) | 口환(煥) | 중口(重) | 口현(鉉) | 태口(泰) | 口주(柱) |
9. 조선 왕실과의 인척 관계
전의 이씨는 조선 왕실과 여러 차례 혼인 관계를 맺었다. 정종의 서녀 인천옹주와 덕천옹주, 태종의 서녀 경신옹주, 선조의 서녀 정신옹주가 전의 이씨 가문으로 시집갔다. 성종의 서자 운천군과 양원군, 정종의 서자 덕천군 또한 전의 이씨 가문을 사위로 맞았다.
영조의 후궁인 영빈 이씨는 묘지명에 전의 이씨로 기록되어 있으나, 영조 때부터 전의 이씨 종친회는 영빈 이씨가 영조와 동성동본인 전주 이씨라는 이유로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10. 인구
전의 이씨는 1985년 조사에서는 26,970가구 112,088명, 2000년 조사에서는 41,071가구 133,237명으로 나타났다.[14] 2015년에는 164,189명으로 대한민국 성씨 인구 순위 59위를 기록했다.[14] 이(李)씨 중에서는 전주 이씨, 경주 이씨, 성주 이씨, 광주 이씨 다음으로 5번째로 많은 인구 순위를 보이고 있다.[14]
2015년 인구 조사에서는 전의 이씨 외에도 금의 이씨(114명), 전원 이씨(110명), 김의 이씨(40명), 문의 이씨(24명), 전이 이씨(21명), 전희 이씨(12명), 전산 이씨(11명), 전성 이씨(11명), 전은 이씨(8명) 등이 조사되었다.[14] 또한, 전의 이씨에서 분적한 예안 이씨(17,748명), 선성 이씨(1,011명), 례안 이씨(188명) 등이 보고되었다.[14]
11. 주요 세거지
전의 이씨는 세종특별자치시를 비롯하여 서울, 경기, 충청, 전라, 경상 등 전국 각지에 걸쳐 집성촌을 이루며 세거해 왔다.
- 서울시 종로구 일대
- 서울시 구로구 궁동 일대
- 서울시 구로구 시흥 일대
- 인천광역시 강화군 교동면 삼선리 일대
-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서석면 풍암리
-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화촌면 삼포리
-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내면
-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청일면 일대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일대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일대
-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일대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일대
- 경기도 성남시 일대
- 경기도 연천군 군남면 선곡리
- 경기도 양평군 서종면 일대
-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망릉리
- 경기도 이천군 대월면 고담리
- 경기도 부천시 소사동
- 경기도 김포시 일대
- 경기도 김포시 양촌면 일대
- 경기도 파주시 일대
- 경기도 파주시 교하읍 송촌리
- 경기도 광주시 오포면 매산리
-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 일대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일대
- 경기도 안성시 일대
- 경기도 평택시 일대
- 경기도 이천시 일대
- 충청북도 청주시 일대
- 충청북도 충주시 일대
- 충청북도 충주시 이류면 검단리
- 충청북도 충주시 신니면 문락리
- 충청북도 충주시 신니면 광월리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면 구산리
- 충청북도 괴산군 증평읍 송산리
- 충청북도 괴산군 증평읍 연탄리
- 충청북도 청원군 옥산면 오산리
- 충청북도 청원군 오창면 학소리
- 충청북도 청원군 오창면 송대리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면 연곡리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일원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일대
- 충청북도 제천시 일대
- 충청북도 옥천군 일대
- 충청북도 보은군 일대
- 대전광역시 일대
- 충청남도 공주군 사곡면 대중리
- 충청남도 공주시 일대
- 충청남도 논산시 일대
- 충청남도 논산군 부적면 외성리
- 충청남도 홍성군 홍북면 중계리
- 충청남도 아산군 배방면 북수리
- 충청남도 아산군 탕정면 매곡리
- 충청남도 당진군 일대
- 충청남도 천안시 일대
- 충청남도 서산시 일대
- 충청남도 예산군 일대
- 충청남도 연기군 일대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일대
-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일대
-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이서면 일대
-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구이면 일대
-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봉동읍 낙평리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군 북면 남산리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군 감곡면 통석리
- 전북특별자치도 옥구군 개정면 운회리
- 전북특별자치도 익산군 왕궁면 광암리
-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일대
-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일대
- 광주광역시 일대
- 광주광역시 서구 쌍촌동
-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동
- 전라남도 광산군 하남면 장덕리
- 전라남도 나주군 세지면 교산리
- 전라남도 나주군 남평면 풍림리
- 전라남도 영광군 대마면 복평리
- 전라남도 담양군 일대
- 전라남도 진안군 일대
- 대구광역시 일대
- 울산광역시 일대
- 경상북도 달성군 공산면 연경동
- 경상북도 달성군 다사면 부곡동
- 경상북도 달성군 하빈면 기곡동
- 경상북도 안동군 풍산면 하리동
-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지경동
- 경상북도 고령군 다산면 상곡동
- 경상북도 영주시 일대
-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 석포리
-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일대
- 경상북도 봉화군 일대
- 경상북도 경산시 일대
- 경상북도 울진군 일대
- 부산광역시 일대
- 경상남도 의령군 지정면 두곡리
- 경상남도 의령군 지정면 오천리
- 경상남도 의령군 지정면 성산리
- 경상남도 의령군 유곡면 세우리
- 경상남도 의령군 지정면 봉곡리
- 경상남도 창원시 일대
- 경상남도 합천군 일대
- 경상남도 산청군 일대
<북한지역>
12. 현대 인물
전의 이씨는 현대 사회에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참조
[1]
웹인용
전성이씨 사례 예시
https://db.itkc.or.k[...]
[2]
문서
이창동(李昌東)의 관직 기록
[3]
문서
이허(李栩)의 관직 및 기록
http://sillok.histor[...]
[4]
문서
조선시대 문의 이씨
[5]
문서
이우석(李友碩)의 관직 기록
[6]
문서
이인석(李仁碩)의 관직 기록
[7]
문서
이의석(李義碩) 관련 기록 및 계보
http://royal.aks.ac.[...]
[8]
웹사이트
『고려사』 권108, 열전21
https://terms.naver.[...]
[9]
웹인용
문과 성관별 급제자수
http://people.aks.ac[...]
[10]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전의이씨 문과급제자 목록
http://people.aks.ac[...]
[11]
웹인용
생원시 성관별 급제자수
http://people.aks.ac[...]
[12]
웹인용
진사시 성관별 급제자수
http://people.aks.ac[...]
[13]
문서
전의이씨 돌림 이름 통합
[14]
웹인용
대한민국 통계청 성씨·본관별 인구
https://kosis.kr/st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